지난 시간에는 가족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대화를 거치면서 가족의 기능이 어떻게 변화하게 됐는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족의 특징과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족의 특징과 유형은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번에 자세히 알아보면서 가족에 대해서 더 잘 알아보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가족의 특징 3가지
시간적 특징
가족관계는 대부분의 다른 사회관계보다 상당히 장기간에 걸쳐서 존재하게 됩니다. 물론 이혼이나 사망 등의 사유로 관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겠지만 시간적으로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더라도 보통은 전체 일생동안 자신의 가족이 존속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구조적 특징
일정한 가족구조가 전제 됐을 때, 가족관계가 유지되게 됩니다. 가족관계는 구성원 간의 생물학적이고 사회적인 다양한 구조적이고 구성적인 특징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규범적 특징
가족관계에서 가족 구성원은 법적인 측면과 비공식적인 측면의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게 됩니다. 결혼은 법에 의한 권리와 의무를 포함하고 있으며 법적으로 가족관계를 구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회가 발전하게 되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법적으로 혼인하지 않고 동거하는 형태의 결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족의 유형
가족의 구성이나 특징에 따른 분류
가족 구성원의 수에 따른 분류로 소가족에는 부부가족과 핵가족이 해당되게 됩니다. 대가족은 핵가족 이상으로 조부모-부모-미혼의 자녀로 이뤄진 가족부터 대가족에 해당이 됩니다.
혈연관계의 범위에 따른 분류로는 핵가족은 부부중심의 가족관계로서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입니다. 확대가족은 가계중심의 가족관계로서 3세대 이상이 함께 거주하는 가족입니다. 확대가족의 유형으로는 직계가족과 방계가족이 있습니다.
가족 내의 권위 소재에 따른 분류로는 아버지 중심인 부권제 가족, 그와 반대되는 어머니 중심의 모권제 가족, 그리고 부권제와 모권제 모두에 해당하지 않고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평등한 평등가족이 있습니다.
가계 계승의 원칙에 따른 분류로는 부계제 가족, 모계제 가족, 양계제 가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부계제 가족이지만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서 모계, 양계제 가족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혼인후 거주지에 따른 분류는 부거제, 모거제, 양거제, 신거제가 있습니다. 부거제는 혼인과 함께 부인이 남편 부모의 집으로 옮겨와서 살거나 남편의 거주 지역으로 옮겨가서 남편의 가족이나 친족들 가까이에서 사는 경우를 말합니다.
모거제는 혼인과 함께 남편이 부인의 부모 쪽으로 옮겨가서 처가살이를 하는 관습을 말합니다. 양거제 혹은 양자택일적인 관습은 거주규정이 분명하지 않지만 부부가 남편 또는 부인 쪽의 어느 한쪽의 친척들과 함께 사는 관습으로 인구가 급격하게 감소되거나 경제적인 안정을 잃어서 전통적인 관습을 포기하고 사회조직이 재편성되는 상황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신거제는 부부가 혼인과 함께 양쪽의 친족집단이나 가족으로부터 독립해서 전혀 새로운 곳에 살림을 차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가족의 구조나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
최근 가치관의 변화와 이혼율의 증가에 따라서 가족구조와 생활양식이 다양해지고 새로운 가족 유형들이 등장하게 됐습니다. 이런 새로운 가족 유형에는 구조에 따라서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아동가족(새싹가족), 독신가족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생활양식과 가치관에 따라서는 기러기가족, 동성애가족, 동거가족 등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가족의 특징과 유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전통적인 가족의 분류는 많이 사라지고 새로운 구조가 많이 자리잡은 것을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가족들이 많이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자리잡게 될 것 같습니다.
'가족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이론: 가족체계론 (0) | 2022.04.21 |
---|---|
가족 이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 (0) | 2022.04.21 |
가족의 기능과 기능의 변화 (0) | 2022.04.20 |
가족의 이해 - 가족의 의미와 의의, 정의, 관련 용어 (0) | 2022.04.20 |
댓글